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414

옥녀꽃대 옥녀꽃대 홀아비를 찾아서 짝을 맞춰주고 싶었는데 못 만났습니다. 그러나 막 피기시작해서 열매를 맺을 때까지 만나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옥녀꽃대 씨는 처음 봤습니다. 2022. 6. 22.
왜젓가락나물 2020년 5월, 8월 제주에서 만난 왜젓가락나물인데 왜젓가락나물은 전국에 다 있다더군요. 그런데 흰왜젓가락나물은 제주에만 있는데 이름은 흰왜젓가락나물이면서 꽃은 황색이라고 기록 돼 있던데 저에게 이 아이를 가르쳐 주신 분은 제주에만 있는 아이라고 하셨는데 그러면 얘가 흰왜젓가락나물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에고 미나리아재비과들 어려워요. 2022. 6. 22.
털개구리미나리 왜 털개구리미나리인지는 줄기를 보시면 아시겠지요? 애는 금방 알아봤습니다. ㅎㅎㅎ 2022. 6. 22.
개구리미나리 개구리 가족들도 꽤나 복잡합니다. 비슷비슷하게 생겨서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ㅎ 2022. 6. 22.
산다래 2020년 6월 제주 산다래는 듣느니 처음이었습니다. 찾아가보니 잉~~~ 너무 못 생겼어요. 이른 시기라 꽃이 덜 핀 상태였는데 다 피면 예뻤으려나요? ㅎㅎㅎ 2022. 6. 21.
개다래 2020년 6월 제주 개다래는 수꽃은 매우 화려하고 큰데 암꽃은 단순하고 작습니다. 개다래가 있는지는 잎을 보면 압니다. 저는 처음에는 잎에 페인트가 떨어진 줄 알았어요. ㅎㅎㅎ 2022. 6. 21.
섬다래 2020년 5월, 6월 제주 섬다래가 피기 시작해서 열매 맺을 때까지 자주 가서 만났습니다. 저는 섬다래 암꽃은 처음 봤어요. 너무나 예쁘고 신기했습니다.*^^* 2022. 6. 21.
큰꽃으아리 숲속에서 만나면 혹시나 백작약인가 해서 다시 보는 아이입니다. 올해는 바닷가에서 만났네요. *^^* 2022. 6. 20.
백선 처음 사진을 시작했을 때 백선의 잎을 보고 작약 군락을 발견한 줄 알고 얼마나 가슴이 콩닥거렸는지...ㅎㅎㅎㅎㅎ 2022. 6. 20.
아침이슬(벼룩나물&큰물칭개나물) 이보다 아름다울 순 없다.ㅎㅎ 2022. 6. 20.
선풀솜나물=>미국풀솜나물 2020년 5월 제주 이 아이도 귀화식물이라는군요. 꽃을 찍기가 난감했는데 설명에 보면 둘레는 암꽃이고 중심부에 양성의 꽃이 핀다는데 저는구별 못하겠습니다.ㅎㅎ 꽃 상태가 좋지 않아서 뭐가 뭔지 모르겠네요. 뭐가 뭔지 모른 이유를 알았네요. 얘는 선풀솜나물이 아니라 미국풀솜나물인데 원래가 이렇게 생긴 아이군요. 잎이 아래 잎이나 윗잎이나 다 주걱모양이라는군요. 2022. 6. 20.
자주풀솜나물 2020년 5월 제주 꽃이 자주색을 띠는데 참 예쁘더군요. 일본에서 귀화한 식물이라네요. 제주는 항구도시라 귀화식물들이 많이 생기는 것 같아요. 2022. 6. 20.
풀솜나물 2020년 5월 제주 이제 2020년도 제주에서의 꽃들을 제대로 올릴 수 있게 됐습니다. 일 년치를 다 정리하는데 꼬박 일 년이 넘게 걸렸네요. 그래서 제가 제주의 꽃들은 촬영 연도를 표기합니다. 풀솜나물은 전국에 분포한다는데 저는 제주에서 처음 그 이름을 알았습니다. ㅎㅎㅎ 2022. 6. 20.
흰도깨비바늘#2 2020년 7월 제주 제주의 또 다른 곳에서 만난 흰도깨비바늘입니다. 2022. 6. 20.
흰도깨비바늘#1 2020년 5월 제주 도깨비바늘은 국생종에는 세 종류만 등재 되어 있더군요. 먼 나라에서 온 귀화식물입니다. 꽃만 보면 도깨비바늘 종류는 아닌 것 같지만 씨를 보면 틀림없는 도깨비바늘입니다. 아마도 꽃이 국화과라서 이 아이는 충실히 과의 분류에 따른 것 같습니다. ㅎㅎㅎ 2022. 6.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