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보다 자유로워라99 같이 날자~ 청다리도요 세 마리하고 혼자 무리와 떨어져 낙오 된 장다리물떼새 한 마리 같이 놀다가 청다리오요가 날아 올랐습니다. 장다리물떼새가 같이 날자~~~ 그러면서 쫓아 가더군요. 그래도 청다리도요 세 마리가 있어서 장다리물떼새가 외롭지 않았던 것 같아요. 2023. 1. 27. 직박구리 직박구리 녀석은 정말 시끄럽습니다. 아마 집 근초에서 꽥꽥 소리지르는 새소리가 들리면 직박구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새들 중에서도 깡패로 취급 되는 녀석이에요. 이 아이가 오면 다 피해버리거든요. ㅎㅎㅎ 2023. 1. 25. 물수리 멋진 녀석이지요.*^^* 2023. 1. 23. 백로 2020년 9월 제주 다음엔 저 숲에 백로가 육추하는 것을 찍으면 되겠다, 그렇게 찜해 놓고... 아직도 찜만 한 상태입니다. ㅎㅎㅎ 2023. 1. 18. 장다리물떼새 흰색 주름스커트를 입은 것 같은 다리는 길어서 마치 발레를 하는 듯한 우아함도 있는 장다리물떼새입니다. ㅎㅎ 2023. 1. 17. 개똥지빠귀 저는 이 아이가 텃새인 줄 알았는데 철새라네요. ㅎㅎ 2023. 1. 16. 쇠오리 오리 중에서 제가 무척 좋아하는 아이입니다. 새 이름에 '쇠'자가 붙으면 작다는 뜻입니다. 이 아이는 참 작은데 알록달록 예쁩니다. 역시나 암컷은 수수하고요. ㅎㅎㅎ 2023. 1. 15. 저어새#4 저어새가 세계적으로 멸종위기 종이라고 들었는데 제주에도 이렇게 많지만 육지에도 여러 곳에서 흔하게 볼 수 있어서 정말 멸종위기 종이 맞나 싶습니다. 2014년에 2,726개체가 발견되었고 현재도 4000개체 정도가 있다고 하더군요. 저어새의 행동을 보면 따오기하고 비슷하게 순하고 느리며 물속의 고기를 물을 휘저으며 잡으러 다니는데 아주 낚시 솜씨는 형편 없습니다. ㅎㅎㅎ 그래서 살아남기가 어렵지 않았나 생각됐습니다. 둘이 비슷하다 생각했는데 다 저어새과네요.ㅎㅎㅎ 2023. 1. 14. 참새 어디에서고 늘 볼 수 있는 텃새지만 아무리 봐도 질리지 않고 짹짹거리는 소리도 귀에 거슬리지 않는 귀여운 작은 새... 2023. 1. 13. 백로의 먹이 사냥 한 입에 꿀꺽!!! 녀석, 맛도 모르고 먹는구만...ㅎㅎㅎ 2023. 1. 12. 때까치 20201년 1월 제주 이 아이를 찍고는 이름도 모르고 난감했는데 부리를 보니 맹금류인 것 같았습니다. 참새보다 약간 큰 아이지만 찾아보니 때까치라는 이름을 가진 맹금류였습니다. 이렇게 작은 녀석이 맹금류라니... 가슴에 물결무늬가 너무 희미해서 아닌가 갸우뚱했지만 날개에 있는 흰점이 나, 때까치 맞아요 그러더군요. ㅎㅎㅎ 2023. 1. 11. 청다리도요 2021년 1월 제주 그해 겨울은 청다리도요 세 마리와 장다리물떼새 한 마리 하고 정말 재미있게 놀았답니다. 올 겨울에도 이 아이들이 저곳에 살고 있는지 궁금하네요. 많은 새들 중에 늘 그렇게 이 아이들을 찾으며 놀았지요. ㅎㅎ 2023. 1. 10. 마도요 마도요가 갈매와 싸우는데 마도요가 이긴 것 같아요. 제주에서 딱 한 마리 만났는데 육지에는 많다는데 만날 날이 있겠지요. ㅎㅎㅎ 2023. 1. 8. 흰죽지 2021년 1월 제주 화려한 붉은색이 수컷이고 갈색의 은은한 색이 암컷입니다. 저곳은 정말 많은 새들이 풍부한 먹이 덕에 다들 한 마리씩 입에 물고 포식을 하고 있었습니다. ㅎㅎㅎ 2023. 1. 7. 댕기흰죽지 2021년 1월 제주 이곳은 근처 양식장에서 나오는 물고기가 많아서 새들의 만찬장이었습니다. 저마다 입에는 커다란 고기 한 마리씩 물고 만찬을 즐겼습니다. 올해, 아니다 벌써 작년이 돼 버렸네요. 작년에 저곳을 가봤더니 새들이 다 어디로 갔는지 없었어요. 맞은편 바다쪽은 양식장이 없어져서 그 많던 저어새와 여러 종류의 새들도 한 마리도 찾지 않더군요. 갈매기 한 마리도 없었으니... 댕기흰죽지는 머리 댕기가 긴 편이고 배쪽이 흰것이 수컷입니다. 암컷은 댕기가 짧고 배쪽이 갈색입니다. 사진이 많지만 찍은 것이 아깝고 다시는 볼 수 없는 아이들이라 버리지 못하겠네요. ㅎ 2023. 1. 6. 이전 1 2 3 4 5 ··· 7 다음